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존슨 (1709년 ~ 1784년)
흄 (1711년 ~ 1776년)
버크 (1729년 ~ 1797년)
모어 (1745년 ~ 1833년)
메스트르 (1753년 ~ 1821년)
보날 (1754년 ~ 1840년)
샤토브리앙 (1768년 ~ 1848년)
콜리지 (1772년 ~ 1834년)
뮐러 (1779년 ~ 1829년)
칼라일 (1795년 ~ 1881년)
뉴먼 (1801년 ~ 1890년)
토크빌 (1805년 ~ 1859년)
도스토옙스키 (1821년 ~ 1881년)
텐 (1828년 ~ 1893년)
스트라우스 (1899년 ~ 1973년)
오크숏 (1901년 ~ 1990년)
키널트레딘 (1909년 ~ 1999년)
커크 (1918년 ~ 1994년)
버클리 (1925년 ~ 2008년)
워 (1939년 ~ 2001년)
스크러턴 (1944년 ~ 2020년)
히친스 (1951년 ~ )
피터슨 (1962년 ~ )
애덤스 (1735년 ~ 1826년)
카람진 (1766년 ~ 1826년)
캐닝 (1770년 ~ 1827년)
메테르니히 (1773년 ~ 1859년)
디즈레일리 (1804년 ~ 1881년)
비스마르크 (1815년 ~ 1898년)
모라스 (1868년 ~ 1952년)
처칠 (1874년 ~ 1965년)
살라자르 (1889년 ~ 1970년)
골 (1890년 ~ 1970년)
프랑코 (1892년 ~ 1975년)
레이건 (1911년 ~ 2004년)
파월 (1912년 ~ 1998년)
대처 (1925년 ~ 2013년)
콜 (1930년 ~ 2017년)
반동주의(反動主義)는 왕정이나 군주제를 비롯한 구체제로 돌아가려는 정치 이념으로서 진보주의에 대한 반대 개념이다. 수구주의나, 보수주의와 동일한 개념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18세기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반동주의의 대표적인 예로는 프랑스 대혁명 이후 공화정에서 다시 왕정으로 회귀한 부르봉 왕정복고가 있으며, 대표적인 반동주의자로는 빈 회의를 주도한 오스트리아 제국의 외교관 메테르니히, 러시아 제국의 정치가 스톨리핀이 있다.
공산주의자들은 자본주의자들을 비판할 때 반동주의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극우 성향의 독재자나 정치가를 비판하거나 지칭할 때에도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