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여진어(女眞語)는 여진족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퉁구스어족 계열의 언어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는 사어(死語)로, 이후 건주여진 방언을 중심으로 만주어가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여진 문자로 기록된 금대의 표준 여진어는 흑수말갈 아십하(阿什河) 유역의 완안부 방언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동북부에 잔존한 여진족은 각자의 방언을 계승하였다.
명대 여진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3]
구개수음 q, γ, x는 모음 a, o, u 앞에서만 나타나며 각각 k, g, h의 변이음이다.
명대 여진어의 모음조화에 따른 모음 분류는 다음과 같다.[3]
1119년에 완성된 여진 문자가 여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한자계의 문자이면서도 거란 문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연해주 남부 및 중국의 북동부 지역에서의 발굴 시에 진흙용기, 청동거울 및 기타 물품들에서 여진어를 찾을 수 있었다. 묘비 및 돌 등에 새겨진 문자들은 잘 알려져 있다.
금이 망한 뒤 명대에는 다음 네 가지 방언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