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정체자(正體字)[1]는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를 부르는 말이다. 전통 한자(傳統漢字)라고도 한다. 2세기 이후부터 사용되고 있다.[2]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제외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및 미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화교 커뮤니티들은 전통적인 한자인 정체자를 고수하고 있다.
한자 문화권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전통 한자(傳統漢字)를 여러 가지로 지칭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등을 포함한 전통 한자를 선호하는 지역들은 전통 한자가 의미와 형식 모두에서 정통성(正統性)이 있다는 의미에서 정체자(正體字, 중국어 정체자: 正體字, 병음: Zhèngtǐzì, 주음 부호: ㄓㄥˋㄊㄧˇㄗˋ)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에, 간략 한자(簡略漢字)를 선호하고 있는 중국 대륙에서만 전통 한자가 너무 복잡하며, 이제는 간략 한자로 모두 대체되었다는 의미에서 번체자(繁體字, 중국어 간체자: 繁体字, 정체자: 繁體字, 병음: Fántĭzì)로 지칭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당용한자(
표의 파란색 부분은 홍콩의 표준자체가 중화민국의 표준 자체와 상이점이 기본적으로 없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