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한 편집자를 위한 문서 더 알아보기
공화정
기원전 508년 – 기원전 27년
제정
기원전 27년 – 서기 1453년
원수정
기원전 27년 – 서기 284년
전제정
284년 – 1453년
레가투스
둑스
오피키움
프라이펙투스
비카리우스
10인단
릭토르
26인단
군부총감
임페라토르
원수(제1인자)
폰티펙스 막시무스
아우구스투스(정제)
카이사르(부제)
사두 정치
임페리움
모스 마이오룸
콜리지얼리티
다른 국가 · 지도
정치 포털
비긴티섹스비리(Vigintisexviri, 단수형:vigintisexvir)는 로마 공화정 때의 하급 행정관들 (magistratus minores)의 집합 (콜레기움)이며, "26인"을 뜻한다.
비긴티섹스비리는 여섯 개 부서로 구성된다:
트레스비리 (tresviri)의 단수형은 트리움비르(Triumvir)이며, 트리움비리 (triumviri)는 가끔식 복수형으로 쓰이긴 하나 옳지 못한 표기로 여겨진다.[2]
로마 공화정 시기에, 비긴티섹스비리 직위들은 원로원 계급의 젊은 이들이 쿠르수스 호노룸 내 공직 경력를 시작하는 데 있어 디딤돌 역할을 했었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경우에는 쿠라토르 비아룸을 맡아 아피아 가도의 일부를 보수한바 있었다. 그러던 중 서기 13년에, 원로원은 기사 계급들에게 비긴티비리 지위를 제한하는 세나투스 콘술툼를 통과시켰다.
원수정 시기에,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두오비리 비스 엑스트라 우르벰 푸르간디스’와 ‘프라이펙티 카푸암 쿠마스’를 폐지하였고, 따라서 비긴티섹스비리는 비긴티비리 ("20인단")으로 바뀌었다.